CS

[CS / TOPCIT]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따봉치치 2023. 5. 8. 16:37
728x90

데이터

현실세계에서 발견, 조사, 수집, 창작을 통한 기초자료인 수집 자원의 형태 그대로의 것

 

데이터베이스

  • 공용 데이터 : 한 조직의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공동으로 소유, 유지, 이용하는 데이터
  • 통합 데이터 : 동일한 데이터가 원칙적으로 중복되어 있지 않음
  • 저장 데이터 :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
  • 운영 데이터 : 한 조직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특징

  • 실시간 접근성
  • 계속적인 변화
  • 동시 공용
  • 내용에 의한 참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데이터를 Datebase에 저장하고 관리해서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언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 구성

 

ANSI-SPARC 의 3-Level Datebase Architecture

1. 외부스키마  :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된 개인적 DB 스키마

2. 개념스키마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 스키마, DB에 저장되는 Data와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

3. 내부스키마 : 물리적 장치에서 Data가 실제적으로 저장되는 방법을 표현한 스키마

 

데이터 독립성

  •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는 영향 미치지 않음
  •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개념 스키마에는 영향 미치지 않음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DBA)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관리 운영 전반에 대한 책임을 가지는 역할을 하는 직무

 

데이터아키텍트 (DA)

데이터와 관련된 요소,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표준, 데이터보안 등에 대해 정책 및 기준을 수립하여 모델링하고 체계화하는 역할 수행자

 

데이터베이스 유형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 상하 종속적인 관계의 트리 형태, 액세스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사용량을 쉽게 예측 가능
  •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의 트리 형태를 망 형태로 확장하여 데이터 저장, 다대다 관계 유지, 포인터 사용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이차원 구조, 수학적 이론 바탕 위에 성립, 질의어 존재
  •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 객체 모델에 기반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XML

웹 환경에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교환하기 위해 표준으로 개발한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

  • 단순성
  • 개방성
  • 확장성
  •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구조
  • 내용과 표현의 분리
  • 계층적 구조
  • 유니코드

분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가 네트워크상에서 여러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인식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통합되어 공유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투명성

사용자들이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어디에 배치되어 있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특성

  • 분할 투명성 : 사용자에게 전역 스키마가 어떻게 분할되었는지 알려주는 역할 수행
    • 수직 분할 : 한 릴레이션을 속성들의 부분 집합으로 이루어진 릴레이션으로 나눔
    • 수형 분할 : 한 릴레이션을 투플들의 부분 집합으로 이루어진 릴레이션으로 나눔
  • 위치 투명성 : 사용자는 데이터의 위치나 입력 시스템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한 명령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 가능
  • 중복 투명성 :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유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함
  • 장애 투명성 : 분산되어 있는 각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되어야 함
  • 병행 투명성 : 다수 트랜잭션이 동시에 수행되어도 결과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성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