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리뷰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13장 스코프

따봉치치 2024. 3. 22. 15:04

스코프
  •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
  • 이름이 동일한 식별자여도 스코프가 다르면 별개의 식별자임
  • 스코프는 네임스페이스임
var 키워드는 같은 스코프 내에 중복 선언을 허용 => 의도치 않게 변수값이 재할당되어 변경되는 부작용 발생
let, const는 같은 스코프 내 중복 선언 허용 X

 

식별자 결정
  •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이름이 같은 두 개의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인지 결정함

 

스코프 종류
  • 전역 :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는 전역 변수
  • 지역 :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지역 변수

 

전역 스코프
  • 전역 :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
  • 전역 변수는 어디서든지 참조 가능함

 

지역 스코프
  • 지역 : 함수 몸체 내부
  • 지역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지역과 하위 지역(중첩 함수)에서만 참조 가능함
  • 즉,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

 

스코프 체인
  •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
  • 스코프는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인 구조를 갖음
  •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반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함
  • 이를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 참조 가능함. 단, 상위 스코프에서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참조할 순 없음
  • 스코프 체인은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를 실행하기 전 렉시컬 환경 자료구조를 실제로 생성함
  • 변수 선언이 실행되면 변수 식별자가 렉시컬 환경에 키로 등록되고,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렉시컬 환경의 변수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함
  • 스코프 체인은 실행 컨택스트의 렉시컬 환경을 단방향으로 연결한 것

 

함수 레벨 스코프
  • 지역 스코프는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생성됨
  • 블록 레벨 스코프 : C, Java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 뿐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이 지역 스코프를 만듦
  • 함수 레벨 스코프 : 하지만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함

 

스코프 결정 방식
  • 동적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
  • 렉시컬 스코프, 정적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정적으로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

 

렉시컬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함
  •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름
  • 즉,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임
  • 함수 상위 스코프는 함수 정의가 실행될 때 정적으로 결정됨
  • 함수 정의가 실행되어 생성된 함수 객체는 이렇게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