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BOJ] 효율적인 해킹 1325번 C++
따봉치치
2024. 10. 7. 16:18
728x90
문제
해커 김지민은 잘 알려진 어느 회사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는 N개의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김지민은 귀찮기 때문에, 한 번의 해킹으로 여러 개의 컴퓨터를 해킹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의 컴퓨터는 신뢰하는 관계와, 신뢰하지 않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A가 B를 신뢰하는 경우에는 B를 해킹하면, A도 해킹할 수 있다는 소리다.
이 회사의 컴퓨터의 신뢰하는 관계가 주어졌을 때,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M이 들어온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M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신뢰하는 관계가 A B와 같은 형식으로 들어오며, "A가 B를 신뢰한다"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하나씩 매겨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김지민이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접근 방식
즉, 방향이 존재하는 트리에서 가장 자식 노드의 합이 큰 노드를 찾으면 되는 문제다.
이를 위해 DFS를 사용해 주었다.
모든 노드를 방문하면서 DFS를 통해 자식 노드의 값을 카운트하고
가장 마지막에 해당 값을 리턴해준다.
만약 현재 자식의 값이 max 값보다 크면
정답 배열을 clear 해준 뒤 push해주면 된다.!!
DFS는 은근 어렵다
코드
#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M, mx = 0;
vector<vector<int>> v;
vector<int> ans;
vector<bool> visited;
int DFS(int cur) {
visited[cur] = true;
int cnt = 1;
for(auto nxt : v[cur]) {
if(!visited[nxt])
cnt += DFS(nxt);
}
return cnt;
}
int main(){
cin>>N>>M;
v.resize(N+1);
for(int i=0; i<M; i++) {
int a,b; cin>>a>>b;
v[b].push_back(a);
}
for(int i=1; i<=N; i++) {
visited.assign(N+1, false);
int cnt = DFS(i);
if(cnt == mx) ans.push_back(i);
else if(cnt > mx) {
ans.clear();
ans.push_back(i);
mx = cnt;
}
}
sort(ans.begin(), ans.end());
for(auto c : ans) cout<<c<<" ";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