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과정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2. DB 설계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엔터티, 속성, 관계 등이 도출됨, 일반적으로 ER 모델로 표현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 스키마 도출, 테이블명, 기본키, 외래키 등이 결정됨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트랜잭션 분석, 뷰 설계, 인덱스 설계, 용량 설계, 접근 방법 등이 결정됨
3. DB 구축
4. 운영 및 유지보수
데이터 모델링
현실세계를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 하기 위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기술
무결성
데이터의 무효갱신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여 정확성, 유효성, 일관성,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성질
- 영역 무결성 : 테이블에 존재하는 필드의 무결성 보장, 속성값은 원자성을 가지며 도메인에서 정의된 값
- 키 무결성 : 모든 레코드는 서로 식별 가능
- 엔터티 무결성 : 모든 테이블에 기본키 반드시 존재, 각 기본키는 반드시 유일값을 가짐
- 참조 무결성 : 참조 관계에 있는 두 테이블의 데이터가 항상 일관된 값을 가지도록 유지되는 것
키
- 수퍼키
- 후보키
- 기본키 : 테이블에 특정 레코드를 구별하기 위해 후보키 중 선택된 고유한 식별자, 유일성, 최소성, 불면성, 존재성을 가짐
- 외래키
728x90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 TOPCIT] 관계대수 (0) | 2023.05.08 |
---|---|
[CS / TOPCIT] 정규화와 이상현상 (0) | 2023.05.08 |
[CS / TOPCIT]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1) | 2023.05.08 |
[CS / TOPICIT]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0) | 2023.05.04 |
[CS / TOPCIT] 프로그래밍 언어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