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텍스트를 동영상, 음성 파일과 연결시키는 하이퍼미디어 정보 시스템을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 요청/응답 프로토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형태의 요청 메시지 보냄 서버는 상태 줄(status line:프로토콜 버전, 성공 또는 오류 코드, MIME 형태 서버 정보 등)을 응답 미시지로 보냄 GET메소드 / POST 메소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우편(e-mai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IMAP(Internet Access Message Protocol) 메일 서버 또는 서비스에서 전자메일 혹은 메시지를 읽어오는 프로토콜 메일 서버에서 전자 메일 관리하고 매일 수신 처리 및 검색 지원 POP..
TOPCIT
전송계층 프로토콜 종단 호스트(End-point host)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역할 TCP TCP/IP 모델에서 응용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위차하며 프로세스 간 통신 제공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송신버퍼와 수신버퍼를 가짐 하나의 전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처리하여 IP에서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함 1. 흐름 제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 수신 한도를 넘는 과도한 패킷의 입력으로 패킷 분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패킷의 흐름 양을 조절 2. 오류 제어 전송 도중 발생한 부호 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하는 기술 3. 혼잡 제어 종단 간 혼잡을 제어하고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 TCP 포트 서비스 TCP 포트 서비스 TC..

데이터 링크계층 장치 간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주소할당 : 물리계층으로부터 받은 신호들이 네트워크상의 장치에 올바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함 오류감지 :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오류가 포함되는지 감지 데이터 링크계층 부계층 1. 논리 링크 제어 (LLC)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두 인접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책임짐, IEEE 802.2 2. 매체 접근 제어(MAC) : 물리적 매개체를 통하여 데이터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책임짐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 전송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받아서 캡슐화하고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전달함 패킷화 : 송신 측에서 수신 측까지 페이로드의 변경 없는 전달을 책..

하둡(Hadoop) 대용량의 데이터를 여러 개의 분산 저장소에서 분산 처리하는 방식의 자바기반 프레임워크 1. 하둡 분산형 파일 시스템(HDFS) : 하둡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형 파일시스템 HDFS는 네임노드 서버 한 대와 데이터노드 서버 여러 대로 구성 네임노드는 모든 메타데이터 관리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를 이용하여 HDFS에 저장된 파일에 접근 가능 하둡 애플리케이션은 파일을 저장하거나 읽기위해서 HDFS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고 클라이언트는 API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 2. 맵리듀스(Map reduce) :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분산 프로그래밍 모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맵 :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관성 있는 데이터들로 분류하는 작업 리듀스 : Map에서 출력된 데이..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와 분산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IT 자원을 임대하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컴퓨팅 환경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는 자원이 필요할 때 가상화된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컴퓨팅 자원을 사용함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1. IaaS (Infastructure as a Service)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인프라 자원(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 사용자는 운영체제 이상의 영역을 직접 관리해야함 2. PaaS (Plafrom as a Service) 개발 환경에 SaaS의 개념을 적용한 형태의 서비스 방식으로 개발 및 운영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필요한 개발 및 운영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는 방식. 네트워크 인프라부터 애플리케이션..
임베디드 시스템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장치 내에 존재하는 전자 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은 특정 임무만 수행시키므로 설계자들이 최적화하여 그 크기와 생산 비용을 줄이고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저비용 저성능 자원 제약성 안정성 회복성 임베디드 하드웨어 중앙처리장치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마이크로 컨트롤러, 메모리, 입출력 장치, 네트워크 장치, 센서 구동기 등으로 구성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고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운영체제,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주된 목적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시간, 에너지, 영속성 등의 물리적 세..

병렬 처리 시스템 병렬처리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독립된 운영체제가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관리하고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것. 병렬로 처리하면 처리속도가 빠르고 기억장치는 공유할 수 있음 병렬 처리 시스템의 플린에 의한 분류(Flynn's taxonomy) 구분 명령어 흐름 데이터 흐름 사례 SISD 1 1 팬티엄, 폰노이만구조 SIMD 1 다중 Array, 슈퍼 컴퓨터 MISD 다중 1 적용어려움 MIMD 다중 다중 SMP, MPP, NUMA 1. SISD (단일명령 - 단일자료) 한 번에 한 개씩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순서대로 처리하는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현재의 일반적인 컴퓨터 구조 2. SIMD (단일명령 - 다중자료) 하나의 명령어로 다수의 데이터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구조 다수의 데이터들에 대하여..

컴퓨터의 기본 구조 중앙처리장치(CPU) : 프로그램 실행과 데이터처리 라는 중추적인 기능 수행 기억장치 주기억장치(Main Memory) : 고속으로 액세스 가능, 일시적 저장장치 보조기억장치 : 저속으로 액세스, 디스트, 자기 테이프 등이 해당 입출력장치 :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대화를 위한 도구 중앙처리장치(CPU)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 프로그램의 실행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추적 기능의 수행 담당 제어장치 기억장치에서 명령을 읽어 해독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 주소를 계산 연산의 수행 순서 결정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 연산장치 :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수행, 레지스터 존재(임시 기억 장소) 버스 :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I/O 장치 등과 상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