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 산술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할당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타입 연산자 피연산자 연산의 대상 값으로 표현될 수 있는 표현식 산술 연산자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 생성 불가할 경우 NaN 반환 이항 산술 연산자 단항 산술 연산자 이항 산술 연산자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 생성 피연산자의 값을 바꾸는 것이 아닌 새로운 값을 생성하는 것 +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단항 산술 연산자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값 생성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즉,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암묵적 할당이 발생 ++ : 증가 -- : 감소 - : 양수를 음수로, 음수를 양수로 반전..
AND 항상 true, false 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고 가장 왼쪽에서 부터 처음 만나는 거짓 데이터를 반환한다. (0 == false) 만약 모두 참이면 가장 마지막 데이터가 반환됨 1 && 0 // 0 반환 OR 항상 true, false 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고 가장 왼쪽에서 부터 처음 만나는 참 데이터를 반환한다. (1 == true) 만약 모두 거짓 이면 가장 마지막 데이터가 반환됨 1 || 0 // 1 반환 Nullish null, undefined가 있으면 해당 값 반환 없으면 null, undefined를 제외한 가장 처음 만나는 데이터를 반환 const n = 0 const num1 = n || 7 // num1 = 7 const num2 = n ?? 7 // num2 = 0 삼항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