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 CS
CPU 스케쥴링 CPU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 가능하므로 CPU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지 결정하는 작업 CPU 스케쥴러 CPU스케쥴러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 어떤 프로세스를 실행할지 선택하고 CPU에 할당해주는 역할을 함 스케쥴링 발생 상황 실행(running) 상태에서 대기(waiting) 상태로 전환 실행(running) 상태에서 준비(ready) 상태로 전환 대기(waiting) 상태에서 준비(ready) 상태로 전환 종료(terminated)될 때 스케쥴링 종류 비선점형 스케쥴링 (non-preemption) 필요한 문맥 교환만 일어나므로 오버 헤드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프로세스 배치에 따라 효율성 차이가 크게 남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다..
· CS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프로세스는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음 (code, data, stack, heap) 프로세스는 최소 1개의 스레드(main)를 가지고 있음 프로세스 주소 공간 Code :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프로그램 함수들의 코드가 cpu가 해석 가능한 기계어 형태로 저장되어 있음 Data : 코드가 실행되면서 사용하는 전역 변수나 각종 데이터들 Stack : 지역 변수와 같은 호출한 함수가 종료되면 되돌아올 임시적인 자료를 저장하는 독립적인 공간. stack은 함수의 호출과 생성되며 함수의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함 Heap : 동적으로 할당되는 데이터들을 위한 공간.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 공간이 동적으로 할당되..
· CS
ARM 프로세서란 ARM 프로세서복잡한 명령어 방식인 CISC 아키텍처와 달리 적은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 전력소비 및 열 방출이 적어 가볍고 휴대가능한 배터리 전원 장치에 많이 사용됨 ARM (Advansed RISC Machine) 프로세서란, RISC 아키텍처 기반의 중앙 처리 장치로 임베디드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32bit 프로세서이다. 명렁어 집합 구조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명령어 하나를 처리하는 구조가 복잡 연산 처리시 복잡한 여러 개의 명령어들을 가지고 있는 복합 명령형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방식을 채택 가변 길이 명령어 사용 폰 노이만 아키텍쳐 파이프라인 사용이 어려움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
· CS
고정 소수점 소수부의 자릿수를 미리 정하여,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것 부호 비트 :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정수부 소수부 : 앞에서부터 채우며 나머지는 0으로 채움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크고 정밀한 실수를 표현하지 못한다. 부동 소수점 ±(1.가수부)×2지수부-127 형식으로 정규화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것 정규화 : 정수 부분에 한자릿수 1만 남기는 표현법 IXXX 754 부동 소수점 표현 부호 비트 :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지수부 가수부
· CS
CPU의 동작 과정 보조기억장치에서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거나,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서 읽음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CPU가 읽고 처리한 후 다시 주기억장치로 보낸 후 저장 주기억장치는 연산된 데이터를 출력장치에 보내거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제어장치는 일련의 1~3 과정에서 명령어가 순서대로 잘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 수행 CPU의 명령어 연산코드 : 실행할 연산을 나타냄 연산 기능 :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수행 제어 기능 : 조건 분기와 무조건 분기 등을 사용해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 데이터 전달 기능 : 레지스터 - 레지스터,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사이에데이터 전달 입출력 기능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전달하고, 연산 결과는 출력장치에 전달 피연산자 주소 :..
따봉치치
'CA'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