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트리에서 리프 노드란, 자식의 개수가 0인 노드를 말한다.
트리가 주어졌을 때, 노드 하나를 지울 것이다. 그 때, 남은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노드를 지우면 그 노드와 노드의 모든 자손이 트리에서 제거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트리가 있다고 하자.

현재 리프 노드의 개수는 3개이다. (초록색 색칠된 노드) 이때, 1번을 지우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검정색으로 색칠된 노드가 트리에서 제거된 노드이다.

이제 리프 노드의 개수는 1개이다.
입력
첫째 줄에 트리의 노드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0번 노드부터 N-1번 노드까지, 각 노드의 부모가 주어진다. 만약 부모가 없다면 (루트) -1이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지울 노드의 번호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트리에서 입력으로 주어진 노드를 지웠을 때, 리프 노드의 개수를 출력한다.
접근 방식
DFS를 이용해 리프 노드의 개수를 탐색하면 되는 문제다
이때 만약 탐색할 노드가 지울 노드의 번호와 같다면 탐색을 진행하지 않고,
리프 노드까지 탐색하며 현재 탐색중인 노드가 리프노드일때 1을 리턴하면 된다.
리프 노드가 아니라면 현재까지 카운트한 노드의 개수를 리턴하면 된다.
코드
#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vector<vector<int>> v;
bool visited[55];
int DFS(int cur, int erase) {
bool isLeaf = true;
int cnt = 0;
for(auto nxt : v[cur]) {
if(erase == nxt) continue;
if(!visited[nxt]) {
isLeaf = false;
visited[nxt] = true;
cnt += DFS(nxt, erase);
}
}
if(isLeaf) return 1;
return cnt;
}
int main() {
int N; cin>>N;
v.resize(N);
memset(visited, false, sizeof(visited));
int start;
for(int i=0; i<N; i++) {
int x; cin>>x;
if(x == -1) {
start = i;
continue;
}
v[x].push_back(i);
}
int erase; cin>>erase;
if(start == erase) {
cout<<0;
return 0;
}
visited[start] = true;
cout<<DFS(start, erase);
}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빙고 2578번 C++ (0) | 2024.11.05 |
---|---|
[BOJ] 기적의 매매법 20546번 C++ (0) | 2024.10.31 |
[BOJ] Costume Party 6159번 C++ (0) | 2024.10.25 |
[BOJ] 수들의 합 5 2018번 C++ (0) | 2024.10.25 |
[BOJ] 결혼식 C++ 5567번 (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