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리트 비트 시리얼 통신에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 중 하나로 정보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 검사하기 위해 추가하는 비트.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각 문자 끝에 1비트를 더하여 전송함 짝수 패리트 데이터의 모든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춤 홀수 패리트 데이터의 모든 1의 개수를 홀수로 맞춤 특징 오류가 검출되면 송신 컴퓨터에게 데이터 재송신을 부탁함 2bit의 데이터가 손실되면 알아차릴 수 없음 오류 검출만 할 뿐 수정하지 않음 해밍 코드 데이터 전송 시, 1bit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자기 오류정정 코드 특징 2Bit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고, 1Bit의 오류를 교정할 수 있음 데이터 비트 외에 오류 검출 및 교정을 위한 잉여 비트가 많이 필요함 해밍 코드 중 2의 배수 번째..
CS

고정 소수점 소수부의 자릿수를 미리 정하여,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것 부호 비트 :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정수부 소수부 : 앞에서부터 채우며 나머지는 0으로 채움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크고 정밀한 실수를 표현하지 못한다. 부동 소수점 ±(1.가수부)×2지수부-127 형식으로 정규화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것 정규화 : 정수 부분에 한자릿수 1만 남기는 표현법 IXXX 754 부동 소수점 표현 부호 비트 :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지수부 가수부
캐시 메모리란(Cache Memory) 범용 메모리로 메인 메모리와 CPU 사이에 위치해 메인 메모리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해두어 속도차에 따른 병목 현상을 줄여 속도를 빠르게 한다. 캐시의 지역성 공간 지역성(Spatial Locality) : 최근에 사용했던 데이터와 인접한 데이터가 참조할 가능성이 높다는 특성 시간 지역성(Temporal Locality) : 최근 사용했던 데이터가 재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특성 🙋 CPU가 필요한 데이터가 cache memory내에 들어와 있으면 cache hit이라 하고 접근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없을 때 cache miss라고 한다. 이때 원하는 데이터가 cache에 있을 확률은 Hit Ratio 라고함. 즉, 캐시의 지역성은 Cache Hit..
CPU의 동작 과정 보조기억장치에서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거나,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서 읽음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CPU가 읽고 처리한 후 다시 주기억장치로 보낸 후 저장 주기억장치는 연산된 데이터를 출력장치에 보내거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제어장치는 일련의 1~3 과정에서 명령어가 순서대로 잘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 수행 CPU의 명령어 연산코드 : 실행할 연산을 나타냄 연산 기능 :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수행 제어 기능 : 조건 분기와 무조건 분기 등을 사용해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 데이터 전달 기능 : 레지스터 - 레지스터,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사이에데이터 전달 입출력 기능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전달하고, 연산 결과는 출력장치에 전달 피연산자 주소 :..

폰 노이만 구조 CPU - 메모리 - 프로그램 으로 구성된 현재의 일반적인 컴퓨터 구조 CPU 와 메모리를 분리하여 명령어를 따로 저장하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 데이터 메모리와 프로그램 메모리가 구분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버스를 가지고 있는 구조 내장 메모리 순차 처리 방식 → 한 번에 명령어 하나씩 수행(SISD) Fetch(명령어 가져옴) → Decode(명령어 해석) → Execute(실행) → Store(결과 저장) 명령어 실행 사이클 명령어 가져오기 (IF, Instruction Fetch) :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가져온다. 명령어 해석 (ID, Instruction Decode) : 앞서 가져온 명령어가 어떤 명령어인지 해석을 진행한다. 피연산자 인출(OF,Operands Fetch) : 명..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텍스트를 동영상, 음성 파일과 연결시키는 하이퍼미디어 정보 시스템을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 요청/응답 프로토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형태의 요청 메시지 보냄 서버는 상태 줄(status line:프로토콜 버전, 성공 또는 오류 코드, MIME 형태 서버 정보 등)을 응답 미시지로 보냄 GET메소드 / POST 메소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우편(e-mai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IMAP(Internet Access Message Protocol) 메일 서버 또는 서비스에서 전자메일 혹은 메시지를 읽어오는 프로토콜 메일 서버에서 전자 메일 관리하고 매일 수신 처리 및 검색 지원 POP..
전송계층 프로토콜 종단 호스트(End-point host)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역할 TCP TCP/IP 모델에서 응용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위차하며 프로세스 간 통신 제공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송신버퍼와 수신버퍼를 가짐 하나의 전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처리하여 IP에서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함 1. 흐름 제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 수신 한도를 넘는 과도한 패킷의 입력으로 패킷 분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패킷의 흐름 양을 조절 2. 오류 제어 전송 도중 발생한 부호 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하는 기술 3. 혼잡 제어 종단 간 혼잡을 제어하고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 TCP 포트 서비스 TCP 포트 서비스 TC..

데이터 링크계층 장치 간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주소할당 : 물리계층으로부터 받은 신호들이 네트워크상의 장치에 올바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함 오류감지 :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오류가 포함되는지 감지 데이터 링크계층 부계층 1. 논리 링크 제어 (LLC)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두 인접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책임짐, IEEE 802.2 2. 매체 접근 제어(MAC) : 물리적 매개체를 통하여 데이터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책임짐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 전송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받아서 캡슐화하고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전달함 패킷화 : 송신 측에서 수신 측까지 페이로드의 변경 없는 전달을 책..